본문 바로가기

경제26

"빌릴 땐 좋았지?" 세상에 공짜는 없습니다. 돈의 가격, 금리 지난 두 개의 포스팅에서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인플레는 물가 상승, 디플레는 물가 하락을 설명하는 중요한 경제 개념들이었죠.   이 개념들을 이해하면서 경제의 변동성을 체감하셨을 텐데요, 이번에는 이런 경제 변동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금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금리란 무엇일까요?금리는 우리가 돈을 빌리거나 예금할 때 항상 등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금리를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돈을 빌리거나 빌려줄 때 적용되는 빌린 돈에 대한 "사용료"라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보통 은행에서 돈을 빌려주면 은행은 그 돈에 대한 이자를 받습니다. 이때 내는 이자의 비율이 바로 금리입니다. 예를 들어, 친구에게 1,000원을 빌려줬는데, 그 친구가 한 달 후에 1,100원으로 갚는다고.. 2024. 6. 29.
과연 물가가 계속 떨어지면 좋은 현상일까요? : 디플레이션 어제는 인플레이션을 알아봤었습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가 오르는 현상이라고 했죠.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물가가 떨어지는 현상인데 물가가 떨어지면 당연히 좋겠죠. 하지만 과유불급이란 말이 있습니다. 뭐든간에 과하면 좋지 않다는 의미죠. 물가가 너무 많이 떨어지면 어떻게 될지 함께 알아보시죠! 디플레이션이란?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반대 개념으로,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구매력이 상승하고 화폐 가치가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경제 전반에는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1.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이유수요 부족경제가 침체되면 기업이나 소비자는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 말은 곧 수요가 줄어든다는 이야기이죠. 소비자들은 미래에 더 낮은 가격을 기.. 2024. 6. 28.
요즘 아이스크림이 너무 비싸요 : 인플레이션 날씨가 점점 더워지면서 아이스크림을 자주 사드실 겁니다. 어렸을 때 500원이면 콘 아이스크림도 사서 먹었던거 같은데 지금은 그 돈이면 부라보콘 바닥 부분의 초콜릿 정도는 먹을 수 있겠네요. 이러한 이유는 바로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인플레이션, 저는 이 단어를 뉴스나 경제 기사에서 자주 봤지만, 어떻게 발생하는지, 그리고 우리 일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잘 몰랐습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이슈가 대두되고 있는 만큼, 이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므로,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의 기본 개념인플레이션은 상품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가격 수준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최근 새롭게 출시되는 스마트폰들을 보면 기능이 엄.. 2024. 6. 27.
한 나라의 경제를 이해하는 지표 : GDP(국내총생산) GDP는 한 나라의 경제를 이해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GDP가 무엇인지 정의부터 계산 방법, 종류, 중요성과 실제 사례까지 다루어보겠습니다. GDP란 무엇인가?GDP는 한 나라의 영토 내에서 일정 기간 동안 생산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총액을 의미합니다.경제 활동의 규모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사용됩니다.GDP라는 개념은 1930년대 대공황 시기 미국의 경제학자인 사이먼 쿠즈네츠에 의해 처음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GDP 계산 방법산출 방식생산 접근법 : 각 산업에서 생산된 재화와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합산.지출 접근법 : 가계 소비, 기업 투자, 정부 지출, 순수출(수출 - 수입)의 합으로 계산.소득 접근법 : 노동소득, 자본소득, 정부의 조세 등을 합산하여 계산.한 나라에서 .. 2024. 6.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