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 치료는 사회원예의 한 분야로 학술적으로 체계화 되었고, 원예 치료사라는 전문 인력에 의해 이루어집니다. 원예치료가 발달한 미국에서는 원예치료협회에서 사람들의 몸과 마음, 영적인 상태 향상을 위해 식물과 정원을 가꾸는 등의 활동에 원예를 활용하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정의했습니다.
1. 원예 치료의 역사
과거의 원예 치료는 고대 이집트부터 실시되어 왔지만 현대적 개녕의 원예치로는 1900년에 가까이 오면서 정의되고 사용되어 왔습니다. 원예치료는 원예 식물과 그들을 소재로 한 다양한 원예활동 프로그램으로 인간의 삶의 질을 개선하는 복지활동이며 적극적으로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대체의학적 치유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광의적 의미의 원예 치료는 일종의 대체의학적 치유 행위로 고도의 전문성과 효과성 입증이 요구되는 의학적 원예치료와 함께 건강증진, 교육, 직업 재활, 스트레스 해소, 인간관계 증진, 도시 및 지역사회 참여 등 삶의 질을 향상 시키기 위한 복지차원의 원예활동을 포함합니다.
좁은 의미의 원예치료는 의학적 원예치료로 원예치료사가 계획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를 치료하고 심신 회복, 재활 및 예방을 추구하는 전문적인 대체의학적 치료활동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
우리나라는 1997년 원예치료연구회 발족을 시작으로 1998년 심포지움을 개최, 같은 해 한국식물인강환경학회를 발족하였습니다. 1999년에는 건국대학교 사회교육원에서 원예치료과정이 개설되었고 다음해 고려대학교 사회교육원에서도 원예치료과정이 개설되었습니다. 또 단국대학교 대학원 원예치료 석,박사 과정이 개설되었고 일반대학원에 원예치료학과가 개설되었습니다. 97년과 98년에 발족한 연구회와 학회가 통합되면서 2000년에 한국원예치료협회로 발족되었습니다.
현재는 대학교, 평생교육원, 관련단체 등에서 원예치료과정 교육, 장애인 관련기관, 병원, 교육기관 등 100여곳 이상에서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운영 중 입니다.
유럽
1800년대 스페인에서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농경활동의 효과를 인정한 기록이 있고, 북스코틀랜드의 의사 gregory 역시 농장에서의 가벼운 활동은 정신병 치유에 현저한 효과가 있다는 보고를 했습니다.
영국에서는 1600년대 말 leonard mageger는 여가시간에 정원에 나가서 활동을 하는것은 건강을 유지하는데 이 만큼 좋은 방법이 없다고 보고했고, 1856년 dorset 구호원은 환자의 심리적인 치료를 위해 원예활동을 권장했습니다. 1930년대 장애인에 대한 수용시설과 치료에 관한 법을 만들어 정신병 환자를 병원에 속한 농원에서 심신을 치료하기 위해 가벼운 농작업을 수행하도록 했고, 60년대 옥스퍼드의 정형외과 센터에서 신체 장애인을 위한 신체적활동을 위해 정원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했습니다.
이후 정신장애 아동을 위한 국민협회가 지자체의 후원으로 장애아동을 실습농장에서 2년간 생활하게하여 사회적응에 대한 훈련 과정을 이수시켰고, 70년대 말 원예치료 및 농업훈련협회가 탄생하여 정신적 환자, 시·청각 장애인, 운동기능이 부족한 환자, 죄수, 마약중독자, 고령자 등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활용하였습니다.
미국
미국의 원예치료는 미국 독립선언서 서명자이자 미국 정신의학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벤저민 러시 교수가 정원환경이 정신적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치료적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고 1878년 미시간 폰탁 주립병원에서 농경작업을 정신치료의 한 과목을 다뤘습니다. 세계 2차 대전 이후 군인들을 대상으로한 재활에 원예치료가 활용된것을 계기로 급속히 확대되었습니다. 1955년 미시간 주립대학에서 원예치료학사 학위가 수여되었고, 1959년 뉴욕대학 메디컬센터에 후유증 환자를 위한 온실을 건축해 신체장애인을 위한 원예치료의 이용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많은 대학에서 원예치료 관련 학과와 강의가 개설되었고, 1987년 미국 원예치료협회로 발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2. 원예치료사
원예치료사는 원예학적 지식 뿐만아니라 의학과 간호학, 상담심리학, 사회복지학 등 다양한 분야의 지식을 원예치료에 체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능력과 자질을 갖춘 전문가를 말합니다.
자격증의 종류
우리나라의 원예치료사 자격은 원예복지사, 원예치료사 1, 2급, 고등원예치료사로 나눠져 있습니다. 원예치료사가 되기 위해서는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에서 인정하는 대학교에서 운영하는 평생교육원의 원예치료사 과정을 이수하거나 대학원의 원예치료 전공을 수료한 후 일정시간 임상경험 등 자격 요건을 충족해야합니다.
원예복지사 : 농촌진흥청 산하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또는 원예 복지 관심을 가진사람, 평생교육원 수료한 사람, 원예치료사 2급 자격시험에 합격한 사람, 농촌진흥청 원예치료 단기연수 수료를 했거나 협회의 워크숍에 40시간 참석한 사람, 지도교수나 기관장의 추천서 중 하나 이상의 조건을 만족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원예치료사 1급 : 대학 학부를 원예치료학과를 졸업하였거나 대학원에서 관련 전공을 졸업한 사람, 대학원 원예학 전공 졸업자는 의료과목 3과목 이수를 하거나 원예치료 석사논문 제출, 평생교육원 일년 과정 수료, 원예학과 졸업생은 워크숍 20시간, 그 외에는 40시간 참여, 임상실습 3,000시간 이상, 논문 1건, 학회 발표 1건 이상, 임상활동 보고서 및 지도교수 추천서 중 한개 이상의 조건을 충족하면 취득할 수 있습니다.
원예치료사 2급 : 전문학사 이상의 학력, 평생교육원 수료 또는 대학원 원예치료 전공 1년 수료, 원예치료사 2급 자격시험 합격, 워크숍 20시간 참여, 임상실습 1,000시간 이상, 학회 발표 1건 이상, 임상활동 보고서 및 지도교수 추천서 중 한개 이상의 조건을 충족했을 때 취득할 수 있습니다.
고등원예치료사 : 원예치료사 1급 자격 취득 후 5년 경과, 해외연수 2회를 포함한 단기고급연수 5회 이상 단, 박사학위를 가지고 있을 경우 대체가 됩니다. 워크숍 100시간 이상, 임상실습 8,000시간 이상, 논문 5건, 학회발표 5건 이상, 협회 임원 10인 이상 추천서, 임상활동 보고서, 지도교수 추천서 등 가장 자격요건이 까다로운 자격증 입니다.
교육기관
국내에서 원예치료 과정을 교육 받을 수 있는 기관은 한국원예치료복지협회가 인정한 대학의 평생교육원이 있고, 약 10개 대학의 학부나 대학원 과정에 원예치료 전공이 개설되어 있으므로 관심이 있는 분은 해당 학교를 찾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3. 치료대상
원예치료는 제2차 세계대전 후 참전 군인들에 대한 육체적 재활 및 직업훈련으로 이용되며 수요가 급속히 늘었고, 오늘날에는 치료 및 예방 차원에서 유아부터 노인, 장애인과 비장애인 구분 없이 다양한 분야의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대상자별 특성, 치료제공
유아, 청소년기
신체적, 사회적, 정신적 성장이 이루어지는 시기로 유아 및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꽃을 장식하는 작업, 계절별 개화하는 꽃의 종류 탐구 등 주의집중력과 인지력을 향상시킵니다.
노년기
정년퇴직한 고령자의 경우 대부분 신체기능과 운동능력이 저하되고, 사회생활의 기회가 감소됨에 따라 우울감, 고립감, 무기력에 빠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따라서 원예활동을 통해 우울증이나 외로움,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신체적 장애인
원예치료에 대한 관심을 크게 키운 전쟁참여 군인의 재활수단으로 시작되었고, 가벼운 농작업 예를들어 전정가위를 활용한 나뭇가지 전정 등의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근육을 발달시키고 기민성과 협업력을 훈련할 수 있습니다.
정신적 장애인
정신적 장애인은 동기부족이나 무감각 등의 성향을 보이므로 씨뿌리기, 모종 심기 같은 대근육을 움직여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빠른 프로그램 전환으로 집중력을 키워줍니다. 꽃 색깔과 향기는 기분 전환과 안정감, 평화로움을 느끼게 해주므로 우울감이 심한 사람에게 특히 효과적 입니다.
4. 원예치료 프로그램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치료 대상자에 대한 분석에서 평가에 이르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설계 입니다.
준비단계
대상에 대해 건강이나 원예에 관한 기초지식 등 자료를 수집하고 치료목적을 명확히 세워, 목표달성을 위해 필요한 시설이나 인력 등 자원을 확보하는 단계입니다.
계획단계
치료와 관련한 단계별, 회기별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의학적 기초를 기반하여 치료모델을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 치료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실험설계와 평가방법을 선정합니다.
실행단계
치료의 핵심 단계로 대상자의 협력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치료사가 계획하고 의도한 치료효과를 극대화시켜야 합니다. 또한 치료의 목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평가단계
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목표달성, 상황, 기술 등을 평가합니다. 목표달성에서는 치료결과를 보고, 상황평가에서는 계획이 적절히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기술평가에서는 사용되었던 작업도구, 비용 효과성, 내용 등을 평가합니다.
'원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5월을 대표하는 꽃의 이야기 (1) | 2024.05.09 |
---|---|
일상 속의 자연 : 도시원예 (1) | 2024.05.08 |
상처를 치유해줄 사람 어디 없나? (1) | 2024.05.06 |
자연의 공기청정기 : 실내를 상쾌하게 하는 정화 식물 (1) | 2024.05.05 |